소식

소식
도지사 보도자료

도지사 보도자료

국내외 인공지능 전문가들 “공공데이터 활용하고 도내 기업과 협업해 경기도 현안 해결”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3-06-08 18:41
조회
8519
지피티(GPT)의 기반이 된 인공지능 모델(Transformer) 논문의 공동 저자 일리야 폴로수킨(Illia Polosukhin) 니어파운데이션 대표와 최재식 카이스트 교수 등 국내외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이 인공지능의 안전한 활용과 경기도의 역할에 관해 토론하는 자리가 열렸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8일 도담소에서 진행된 ‘인공지능(AI) 전문가 정책 간담회’에서 “경기도는 인공지능과 관련해서 뉴욕대 ‘AI 라운드테이블’, 챗지피티 활용방안 강구, 발달장애인 AI창작단 전시회 등 다른 지자체와 정부보다도 선도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라면서 “인공지능 시대가 부쩍 다가온 만큼, 경기도가 할 수 있는 일을 적극적으로 제안해 주면 관련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라고 자유로운 토론을 당부했다.

폴로수킨 대표는 발표를 통해 “인공지능의 방향은 소수가 독점하는 방향이 아니라 개방을 지향하는 오픈소스를 향해 가야 한다”라며 “웹3 기술 기반으로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 관리하는 제도적 방안을 공공영역에서 모색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일리야 폴로수킨 니어파운데이션 대표는 니어파운데이션의 공동창업자이며, 챗지피티와 같은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 개발의 토대가 된 논문 ‘Attention Is All You Need’의 공동 저자다.

발표 후에는 최재식 카이스트 인공지능연구센터장과 윤석원 테스트웍스 대표, 이종민 SKT 부사장, 배순민 KT 연구소장 등 인공지능 전문가들과 주형철 경기연구원장, 강성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김철균 도정자문위원, 류인권 기획조정실장, 김현대 미래성장산업국장 등이 ‘경기도 인공지능 정책 및 안전한 활용법’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을 벌였다.

이종민 SKT 부사장은 “인공지능 시대를 빠르게 열기 위해서는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협력이 있어야 한다”라면서 인공지능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통한 매장 보안 강화, 인공지능을 활용한 반려동물 질병 진단, 신재생에너지 수요예측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등 인공지능 활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사회문제를 제시했다.

윤석원 테스트웍스 대표는 “경기도에 있는 기업이나 도민들이 경기도가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보기 원할 때 사용자 친화적으로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배순민 KT 연구소장은 “초등학생 때부터 AI교육을 진행해 AI문해력을 높여야 한다”라면서 “여기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이 외국 기업에 지불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AI반도체 등 국내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도 공공기관이 가진 데이터 활용에 대한 자문을 구하며 토론에 적극 임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가 보유한 수많은 데이터를 어떻게 공개할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라면서 “경기도는 작은 대한민국이므로 이 데이터를 공개해서 기업과 도민이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 있는지 궁금하다”라고 자문을 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배순민 KT 연구소장은 “데이터 수집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해야 활용이 가능하다”라면서 “AI 산업 발전과 이를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에서 목적성이 정확한 데이터를 기계 가독성(Machine Readable)이 높은 형태로 개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종민 SKT 부사장도 “어떤 문제를 해결할지 정하는 게 데이터 공개의 첫 단계”라면서 “경기도가 인공지능으로 풀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먼저 정하면 경험을 가진 기업들과 협업해 데이터 수집부터 문제를 차근차근 풀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원 테스트웍스 대표는 “경기도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그 과정에서 데이터 정제 작업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에서 투자유치를 하는 것들을 연결해서 간단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라고 제안했다.

이에 김 지사는 “경기도가 당면한 문제는 대한민국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와 똑같다. 거기에서 우선순위가 높고 접근하기 적합한 것을 뽑아내서 작은 성과를 빨리 내면 확산할 수 있을 것 같다. 작은 성과라도 실제로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보자”라며 토론회를 마무리했다.

한편, 경기도는 ‘소외계층 접근권’이나 ‘반복적 업무’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 중이다. ‘AI창작단’ 시범사업 추진으로 발달장애인의 예술 활동의 지원하고 콜센터 및 민원 서비스, 행정업무 간소화에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또 ‘인공지능 수도’로 도약하기 위해 미래산업펀드 500억 원을 조성해 생성형 인공지능 새싹 기업에 투자하고 ‘인공지능 산학연관 협의체’를 만들어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 등을 계획하고 있다.
목록보기
전체 95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0
경기도, 미래성장산업 선도 위해 산학연관 혁신주체들과 ‘맞손’ 김동연 지사 “산학협력으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돌파구 마련해야”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10479
경기지기 2023.10.12 10479
509
김동연 지사, 10.4 남북정상선언 16주년 맞아 “경기도로부터 평화의 길 이어가겠다”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9756
경기지기 2023.10.12 9756
508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부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주민투표 공식 요청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10152
경기지기 2023.10.12 10152
507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비전 선포한 김동연 지사 “묶여있던 경기북부 성장잠재력 깨워 대한민국의 신성장 이끌겠다”
경기지기 | 2023.09.25 | 조회 11237
경기지기 2023.09.25 11237
506
김동연, “소상공인 지원 원스톱 통합서비스 구축 필요”
경기지기 | 2023.09.21 | 조회 10679
경기지기 2023.09.21 10679
505
경기도, 34조 797억원 규모 제1회 추경안 통과
경기지기 | 2023.09.21 | 조회 10873
경기지기 2023.09.21 10873
504
김동연 경기도지사, “생태‧평화의 상징 DMZ에 유엔 제5사무국 유치 희망”
경기지기 | 2023.09.20 | 조회 10921
경기지기 2023.09.20 10921
503
김동연 지사, “스위치 더 경기로 기후위기 대응 앞장서겠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경기지기 | 2023.09.20 | 조회 11234
경기지기 2023.09.20 11234
502
김동연 지사, 세계 최대 산업용 가스기업 린데와 온실가스 감축 협력방안 논의
경기지기 | 2023.09.20 | 조회 10457
경기지기 2023.09.20 10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