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보도자료
경기도, 취약계층 난방비 193억원 집행 완료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3-02-23 14:11
조회
7859
경기도가 급등한 난방비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193억 원 규모의 난방비 예산을 모두 집행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달 2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지원대책을 발표한 뒤 25일 만이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월 7일 1차분 109억 원 집행을 완료한데 이어 20일 나머지 84억 원에 대한 집행을 마쳤다. ‘난방비 예산’ 누적 집행액은 193억 원으로 예산액 197억 9천만 원 대비 97.6%의 집행률을 기록했다. 약 5억 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했지만 이는 실제 지원 인원과 시설이 예상과 달라서 발생한 것으로 지원 예산은 모두 집행된 셈이다.
시․군별로는 ▲수원 14억 6천600만 원 ▲고양 14억 4천400만 원 ▲성남 14억 3천400만 원 ▲부천 13억 1천600만 원 등이다.
도는 김동연 지사가 1월 2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한파와 난방비 폭탄으로 건강과 생존을 위협받는 도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노인가구 ▲장애인가구 ▲노숙인 시설 ▲한파쉼터(경로당) ▲지역아동센터 등에 대한 난방비 지원대책을 발표한 이후 31일 도비 보조금 198억 원을 전 시·군에 교부했다.
도는 보조금 교부일에 시·군 복지국장 회의를 열고 예산의 신속 집행을 독려하면서 도-시·군 직통전화로 매일 집행 현황을 살폈다. 이에 2월 1일부터 7일까지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 개별가구, 중증 장애인 가구당 10만 원씩, 노숙인 시설·아동지원센터·한파쉼터 개소별 40만 원씩 난방비 1차분 109억 원 지급을 완료했다. 이후 2월 20일까지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 개별가구, 중증 장애인 가구당 추가 10만 원씩 난방비 2차분 84억 원을 집행했다.
남상은 경기도 복지정책과장은 “난방비 지급이 늦어져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없도록 빠른 시간 내로 지급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앞으로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010-4419-7722)과 긴급복지전용 콜센터(031-120)를 통해 접수되는 난방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지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월 7일 1차분 109억 원 집행을 완료한데 이어 20일 나머지 84억 원에 대한 집행을 마쳤다. ‘난방비 예산’ 누적 집행액은 193억 원으로 예산액 197억 9천만 원 대비 97.6%의 집행률을 기록했다. 약 5억 원의 집행잔액이 발생했지만 이는 실제 지원 인원과 시설이 예상과 달라서 발생한 것으로 지원 예산은 모두 집행된 셈이다.
시․군별로는 ▲수원 14억 6천600만 원 ▲고양 14억 4천400만 원 ▲성남 14억 3천400만 원 ▲부천 13억 1천600만 원 등이다.
도는 김동연 지사가 1월 2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한파와 난방비 폭탄으로 건강과 생존을 위협받는 도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노인가구 ▲장애인가구 ▲노숙인 시설 ▲한파쉼터(경로당) ▲지역아동센터 등에 대한 난방비 지원대책을 발표한 이후 31일 도비 보조금 198억 원을 전 시·군에 교부했다.
도는 보조금 교부일에 시·군 복지국장 회의를 열고 예산의 신속 집행을 독려하면서 도-시·군 직통전화로 매일 집행 현황을 살폈다. 이에 2월 1일부터 7일까지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 개별가구, 중증 장애인 가구당 10만 원씩, 노숙인 시설·아동지원센터·한파쉼터 개소별 40만 원씩 난방비 1차분 109억 원 지급을 완료했다. 이후 2월 20일까지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 개별가구, 중증 장애인 가구당 추가 10만 원씩 난방비 2차분 84억 원을 집행했다.
남상은 경기도 복지정책과장은 “난방비 지급이 늦어져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없도록 빠른 시간 내로 지급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앞으로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010-4419-7722)과 긴급복지전용 콜센터(031-120)를 통해 접수되는 난방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지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 954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324 |
김동연 지사, 방한 중인 베트남 국회부의장 만나 인적교류 등 협력 방안 논의
경기지기
|
2023.03.24
|
조회 7368
|
경기지기 | 2023.03.24 | 7368 |
323 |
김동연 지사, “반도체 지원 전담조직, 기업 고충 풀어주는 그릇 돼야”
경기지기
|
2023.03.24
|
조회 7104
|
경기지기 | 2023.03.24 | 7104 |
322 |
경기도, ‘경기청년 사다리’ 등 3대 기회패키지 사업 제도적 근거 확보
경기지기
|
2023.03.24
|
조회 7209
|
경기지기 | 2023.03.24 | 7209 |
321 |
경기도,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 지원금’ 24일 지급. 123명에 생활 안정지원금 등
경기지기
|
2023.03.24
|
조회 8939
|
경기지기 | 2023.03.24 | 8939 |
320 |
김동연 지사 “청렴은 공직자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의무이자 자존심”
경기지기
|
2023.03.22
|
조회 6907
|
경기지기 | 2023.03.22 | 6907 |
319 |
‘재도전의 기회’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2023시즌 개막
경기지기
|
2023.03.22
|
조회 7043
|
경기지기 | 2023.03.22 | 7043 |
318 |
지피티(GPT) 혁신포럼 연 김동연 지사, “경기도가 GPT 적용의 개척자 될 것”
경기지기
|
2023.03.22
|
조회 7749
|
경기지기 | 2023.03.22 | 7749 |
317 |
김동연 경기도지사 “지피티(GPT) 혁신포럼에 도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경기지기
|
2023.03.22
|
조회 7080
|
경기지기 | 2023.03.22 | 7080 |
316 |
경기도, 온라인 기억 공간 마련. 재난 원인과 대책, 추모 메시지까지
경기지기
|
2023.03.17
|
조회 7486
|
경기지기 | 2023.03.17 | 74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