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소식
도지사 보도자료

도지사 보도자료

경기도, 6월부터 난임시술 지원에 대한 여성 나이기준 폐지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4-06-01 20:08
조회
16588
경기도가 6월 1일부터(결정통지서 발급일 기준)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의 여성 나이별 시술금액 차등 지원 기준을 폐지했다. 이에 따라 난임시술 지원에 방해가 됐던 소득, 거주지, 횟수, 나이까지 모든 기준이 폐지되거나 해소돼 더 많은 난임부부들이 안심하고 시술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은 체외수정, 인공수정 시술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금까지는 고연령 임신에 따른 건강상의 위험성 때문에 45세(여성)를 기준으로 지원금액에 차등을 두고 있었다.

이로 인해 45세 이상 여성의 경우 44세 이하 여성에 비해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 금액이 적었다.

그러나 도는 초저출산 상황에서 아이를 원하는 난임부부에 대해서는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45세 이상 여성에 대해서도 44세 이하 여성과 지원액을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경기도 거주 난임여성은 나이와 상관없이 동일한 금액(신선배아 최대 110만 원, 동결배아 최대 50만 원, 인공수정 최대 3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지원희망자는 여성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온라인(정부24)을 통해 신청한 뒤 지원 결정통지서를 발급받아 난임시술의료기관에 제출하면 된다.

앞서 도는 난임가구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지난해 7월 중위소득 180% 이하만 지원하는 소득기준을 폐지했다. 이어 두 번째로 올해 1월부터는 경기도에 6개월 이상 거주를 신청일 기준 경기도거주로 변경해 거주기준도 폐지했다. 세 번째로 지난 2월부터는 21회로 제한된 난임시술 지원 기준을 25회로 확대한 바 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경기도는 난임부부의 임신·출산 장애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작년부터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했다”면서 “출산의지가 분명한 난임부부에 대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도 난임가정의 부담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인구, 저출생 정책 마련을 위해 경기도 ‘러브아이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난임부부에 대한 소득기준과 거주지 폐지 등 난임부부 지원정책은 ‘러브아이 프로젝트’의 하나로 추진된 것이다. ‘러브아이’는 나(I)와 아이(Baby)를 사랑한다는 중의적 표현으로 경기도 저출생 정책 브랜드다.
목록보기
전체 95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98
김동연 지사 “캐나다 BC주가 경기도 똑버스를 홈페이지에 소개했어요”
경기지기 | 2024.08.23 | 조회 16584
경기지기 2024.08.23 16584
797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3천 가구 이상 지원. 양육공백 가정에 큰 힘!
경기지기 | 2024.08.20 | 조회 17569
경기지기 2024.08.20 17569
796
김동연 지사, “선수단 즐기는 모습 보면서 온 국민이 큰 힘이 됐다”
경기지기 | 2024.08.20 | 조회 16836
경기지기 2024.08.20 16836
795
경기도 미래위원회 위원 모집에 350명 지원 청년~장년까지 골고루 포진. 세대간 소통과 협력 통한 정책 개발 기대
경기지기 | 2024.08.16 | 조회 17530
경기지기 2024.08.16 17530
794
김동연 경기도지사 79주년 광복절 경축사 전문
경기지기 | 2024.08.16 | 조회 16811
경기지기 2024.08.16 16811
793
김동연 지사, 임기 후반기 중점과제는 ‘사람중심경제(휴머노믹스)’
경기지기 | 2024.08.16 | 조회 18834
경기지기 2024.08.16 18834
792
김동연 지사, 2개월만에 다시 광역단체장 직무수행 긍정평가 전국 1위 올라
경기지기 | 2024.08.13 | 조회 16935
경기지기 2024.08.13 16935
791
경기도, 선감학원 희생자 유해발굴 착수. 8일 개토행사 열어
경기지기 | 2024.08.02 | 조회 17505
경기지기 2024.08.02 17505
790
경기도,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기업에 1,000억 원 규모 ‘특별경영자금’ 지원
경기지기 | 2024.08.02 | 조회 17383
경기지기 2024.08.02 17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