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보도자료
경기도, 복지사각지대 발굴할 ‘희망 보듬이’ 1만명 모집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3-08-16 09:02
조회
6866
경기도가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제보할 ‘경기도 희망 보듬이’ 1만 명을 연말까지 상시 모집한다.
‘경기도 희망 보듬이’는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도민을 찾아 긴급복지 핫라인(010-4419-7722), 긴급복지 콜센터(120-0), 경기복G톡(카카오톡 채널), 긴급복지 콜센터 누리집(gg.go.kr/welfarehotline)에 제보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주민들과 접촉이 잦은 통장 등 이웃 중심의 ‘명예 사회복지공무원’과 달리 경기도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희망 보듬이는 복지 단체 종사자, 공공기관, 긴급복지 신고의무자, 생활업종 종사자 등을 중심으로 촘촘한 민관 협력망을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일반 도민도 참여할 수 있다. 도는 희망 보듬이를 올해 1만 명에서 2025년 5만 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신청과 함께 바로 제보에 참여하고, 도에서 위촉해 2년 단위로 연임 제한 없이 활동하게 되며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이 제공될 예정이다.
도는 희망 보듬이가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을 통해 제보한 어려운 이웃에게 기초생활보장·차상위계층·긴급복지를 비롯한 기존 복지제도에 해당하면 생계·주거·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복지제도 급여를 받지 못하더라도 위기 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필요시 민간 후원 복지서비스를 연계할 계획이다.
참여 희망자는 온라인 경기민원24(gg24.gg.go.kr), 전자우편(kiwook2001@gg.go.kr), 우편(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 경기도청 복지사업과), 방문 접수 등으로 신청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문의 사항은 경기도 복지사업과 희망복지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김능식 경기도 복지국장은 “경기도에서 관계기관·단체와 협력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있지만 공조직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이웃의 관심과 협조가 절실하다”라며 “위기 이웃을 발견하면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으로 제보하는 ‘경기도 희망 보듬이’에 적극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했다.
‘경기도 희망 보듬이’는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도민을 찾아 긴급복지 핫라인(010-4419-7722), 긴급복지 콜센터(120-0), 경기복G톡(카카오톡 채널), 긴급복지 콜센터 누리집(gg.go.kr/welfarehotline)에 제보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주민들과 접촉이 잦은 통장 등 이웃 중심의 ‘명예 사회복지공무원’과 달리 경기도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희망 보듬이는 복지 단체 종사자, 공공기관, 긴급복지 신고의무자, 생활업종 종사자 등을 중심으로 촘촘한 민관 협력망을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일반 도민도 참여할 수 있다. 도는 희망 보듬이를 올해 1만 명에서 2025년 5만 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신청과 함께 바로 제보에 참여하고, 도에서 위촉해 2년 단위로 연임 제한 없이 활동하게 되며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이 제공될 예정이다.
도는 희망 보듬이가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을 통해 제보한 어려운 이웃에게 기초생활보장·차상위계층·긴급복지를 비롯한 기존 복지제도에 해당하면 생계·주거·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복지제도 급여를 받지 못하더라도 위기 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필요시 민간 후원 복지서비스를 연계할 계획이다.
참여 희망자는 온라인 경기민원24(gg24.gg.go.kr), 전자우편(kiwook2001@gg.go.kr), 우편(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 경기도청 복지사업과), 방문 접수 등으로 신청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문의 사항은 경기도 복지사업과 희망복지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김능식 경기도 복지국장은 “경기도에서 관계기관·단체와 협력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있지만 공조직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이웃의 관심과 협조가 절실하다”라며 “위기 이웃을 발견하면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상담 핫라인으로 제보하는 ‘경기도 희망 보듬이’에 적극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했다.
전체 885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공지사항 |
(기자회견문) ‘대한민국 비상 경영 3대 조치’를 제안합니다
경기지기
|
2025.01.13
|
조회 4262
|
경기지기 | 2025.01.13 | 4262 |
515 |
경기도, 판교+20 벤처클러스터 조성. 스타트업 3천개 육성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7167
|
경기지기 | 2023.10.12 | 7167 |
514 |
경기도, 위기임산부 안심상담 핫라인(010-4257-7722) 개설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7264
|
경기지기 | 2023.10.12 | 7264 |
513 |
도지사와 함께하는 맞손토크에 2만 1천 명 신청. 1만 명 초대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7025
|
경기지기 | 2023.10.12 | 7025 |
512 |
경기도, 2026년까지 기업가치 500억 이상 임팩트 유니콘기업 100개 육성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7042
|
경기지기 | 2023.10.12 | 7042 |
511 |
김동연 지사, 노인의 날 맞아 “어르신 중심 전 연령층 ‘누구나 돌봄’ 전방위 추진”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6467
|
경기지기 | 2023.10.12 | 6467 |
510 |
경기도, 미래성장산업 선도 위해 산학연관 혁신주체들과 ‘맞손’ 김동연 지사 “산학협력으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돌파구 마련해야”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6881
|
경기지기 | 2023.10.12 | 6881 |
509 |
김동연 지사, 10.4 남북정상선언 16주년 맞아 “경기도로부터 평화의 길 이어가겠다”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6581
|
경기지기 | 2023.10.12 | 6581 |
508 |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부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주민투표 공식 요청
경기지기
|
2023.10.12
|
조회 6813
|
경기지기 | 2023.10.12 | 6813 |
507 |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비전 선포한 김동연 지사 “묶여있던 경기북부 성장잠재력 깨워 대한민국의 신성장 이끌겠다”
경기지기
|
2023.09.25
|
조회 7785
|
경기지기 | 2023.09.25 | 77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