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보도자료
경기도, 전년대비 1,242억 증가한 에너지 금융자금 조성, 신재생에너지 기업에 저금리 대출 추진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4-03-11 18:45
조회
10284
경기도가 경기RE100 달성을 위해 도 예산과 은행자금 등을 활용한 약 1,267억 원 규모의 대출금을 조성했으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산업 관련 기업에 에너지 금융 지원을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올해 ▲소규모 태양광발전소의 저금리 융자 120억 원 ▲은행자본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이자 차액 보전 332억 원 ▲태양광·에너지 효율화 사업자 보증지원 및 2% 이자 감면 800억 원 ▲전력 사용량이 많은 산업단지 중소·중견기업의 에너지효율화 저금리 융자 15억 원 자금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각 금융 지원 사업은 3월부터 순차적으로 자금 소진 시까지 추진된다.
■ 소규모 태양광발전소 에너지 융자 지원(융자 규모 120억 원)
먼저 경기도는 500kW 이하 소규모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에너지 융자지원을 한다. 전년 대비 95억 원이 늘어난 12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3% 저금리 융자지원으로 소규모 발전사업자의 금리 부담을 덜 계획이다.
지원 기준도 발전사업자 수요에 맞춰 기존 200kW까지 지원하던 설비용량을 500kW까지 늘리고, 융자 한도를 3억 2천만 원에서 8억 5천만 원까지 증액했다.
또한, 상업용에 국한된 지원 대상을 자가발전용 시설까지 확대한다. 이를 통해 도는 자가용 태양광발전 설치를 통해 RE100을 달성하려는 중소·중견 기업의 자본투자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3월 중 대상자를 모집해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 신재생에너지 대출 이자 지원(융자 규모 332억 원)
이 사업은 300kW 이상 중규모 태양광발전소를 신규 설치하는 기업이 도와 협약을 맺은 은행에서 자금을 대출받으면 도가 이자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경기도는 공모 형식으로 금융기관을 선정할 계획으로 융자 규모는 332억 원이다. 도는 올해 대출 이자 명목으로 1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 도는 앞으로 3년간 3% 규모의 이자를 지원할 계획으로 사업자가 실제 지출하는 이자는 3%~4%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산업단지 중소·중견기업 에너지효율화 융자 지원(융자 규모 15억 원)
재생에너지 보급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경기RE100 달성을 위해 산단 중소·중견기업의 에너지 효율화 융자도 추진한다. 에너지 효율화 기기는 노후 보일러 교체, 폐열 재사용, LED 조명 등 에너지절약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말한다.
도는 15억 원의 예산을 신규로 편성해 에너지 효율화 기기를 설치하는 기업에 최대 5억 원, 금리 3%의 저금리 융자지원을 통해 전력 소비량을 줄일 계획이다. 산업단지 내 중소·중견기업 에너지 효율화 융자지원은 3월 중 모집 공고가 게시될 예정이다.
■ 태양광·에너지효율화 사업자 보증 및 이자 지원(융자 규모 800억 원)
경기도는 경기신용보증재단 및 4개 은행과 함께 도내 태양광·에너지효율화 시설 설치·제조·관리 기업(800억), 일회용품 대체재 제조기업(100억), 기후테크 기업(100억)에 대해 총 1,000억 원 규모의 특별금융지원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경기도 중소기업 기후위기 대응 특별보증’ 상품을 11일 출시한다 이 상품은 기업당 5억 원 이내 대출에 대한 보증을 지원하고 추가로 연 2.0%p의 이자 감면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 상품을 이용하는 기업은 평균 3.2% 이내 이자로 자금을 이용할 수 있다.
태양광·에너지효율화 사업자 보증 및 이자 지원 외 사업은 은행 선정과 경기도 의회 보고 일정에 맞춰 사업의 공고를 4월부터 순차적으로 게재할 예정이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고금리로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제동이 걸리는데도 정부는 금융 지원을 980억 원 축소하는 등 세계 추세에 역행하고 있다.”며 “국내·외적인 경제난 속에서도 재생에너지 시장이 위축되지 않도록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RE100 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도는 올해 ▲소규모 태양광발전소의 저금리 융자 120억 원 ▲은행자본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이자 차액 보전 332억 원 ▲태양광·에너지 효율화 사업자 보증지원 및 2% 이자 감면 800억 원 ▲전력 사용량이 많은 산업단지 중소·중견기업의 에너지효율화 저금리 융자 15억 원 자금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각 금융 지원 사업은 3월부터 순차적으로 자금 소진 시까지 추진된다.
■ 소규모 태양광발전소 에너지 융자 지원(융자 규모 120억 원)
먼저 경기도는 500kW 이하 소규모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에너지 융자지원을 한다. 전년 대비 95억 원이 늘어난 12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3% 저금리 융자지원으로 소규모 발전사업자의 금리 부담을 덜 계획이다.
지원 기준도 발전사업자 수요에 맞춰 기존 200kW까지 지원하던 설비용량을 500kW까지 늘리고, 융자 한도를 3억 2천만 원에서 8억 5천만 원까지 증액했다.
또한, 상업용에 국한된 지원 대상을 자가발전용 시설까지 확대한다. 이를 통해 도는 자가용 태양광발전 설치를 통해 RE100을 달성하려는 중소·중견 기업의 자본투자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3월 중 대상자를 모집해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 신재생에너지 대출 이자 지원(융자 규모 332억 원)
이 사업은 300kW 이상 중규모 태양광발전소를 신규 설치하는 기업이 도와 협약을 맺은 은행에서 자금을 대출받으면 도가 이자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경기도는 공모 형식으로 금융기관을 선정할 계획으로 융자 규모는 332억 원이다. 도는 올해 대출 이자 명목으로 1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 도는 앞으로 3년간 3% 규모의 이자를 지원할 계획으로 사업자가 실제 지출하는 이자는 3%~4%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산업단지 중소·중견기업 에너지효율화 융자 지원(융자 규모 15억 원)
재생에너지 보급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경기RE100 달성을 위해 산단 중소·중견기업의 에너지 효율화 융자도 추진한다. 에너지 효율화 기기는 노후 보일러 교체, 폐열 재사용, LED 조명 등 에너지절약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말한다.
도는 15억 원의 예산을 신규로 편성해 에너지 효율화 기기를 설치하는 기업에 최대 5억 원, 금리 3%의 저금리 융자지원을 통해 전력 소비량을 줄일 계획이다. 산업단지 내 중소·중견기업 에너지 효율화 융자지원은 3월 중 모집 공고가 게시될 예정이다.
■ 태양광·에너지효율화 사업자 보증 및 이자 지원(융자 규모 800억 원)
경기도는 경기신용보증재단 및 4개 은행과 함께 도내 태양광·에너지효율화 시설 설치·제조·관리 기업(800억), 일회용품 대체재 제조기업(100억), 기후테크 기업(100억)에 대해 총 1,000억 원 규모의 특별금융지원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경기도 중소기업 기후위기 대응 특별보증’ 상품을 11일 출시한다 이 상품은 기업당 5억 원 이내 대출에 대한 보증을 지원하고 추가로 연 2.0%p의 이자 감면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 상품을 이용하는 기업은 평균 3.2% 이내 이자로 자금을 이용할 수 있다.
태양광·에너지효율화 사업자 보증 및 이자 지원 외 사업은 은행 선정과 경기도 의회 보고 일정에 맞춰 사업의 공고를 4월부터 순차적으로 게재할 예정이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고금리로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제동이 걸리는데도 정부는 금융 지원을 980억 원 축소하는 등 세계 추세에 역행하고 있다.”며 “국내·외적인 경제난 속에서도 재생에너지 시장이 위축되지 않도록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RE100 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겠다.”라고 말했다.
전체 951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897 |
김동연 지사, 주 30시간 근무 스타트업 찾아 “경기도는 주4.5일제와 유연근무제 통해 일과 삶의 양립이 가능하게 할 것”, “기업의 생산성 뿐 아니라 저출산 문제에도 도움이 될 것”
경기지기
|
2025.02.07
|
조회 10800
|
경기지기 | 2025.02.07 | 10800 |
896 |
김동연 지사, 주한캐나다 대사 만나 경제협력 강화 논의
경기지기
|
2025.02.07
|
조회 10430
|
경기지기 | 2025.02.07 | 10430 |
895 |
김동연 지사, 폭설에 “비닐하우스 거주자, 한파취약 가구 대피 지원” 특별 지시
경기지기
|
2025.01.28
|
조회 11022
|
경기지기 | 2025.01.28 | 11022 |
894 |
김동연 지사, 설 맞아 폭설 피해 복구 지원 약속했던 의왕도깨비시장 방문 직접 장보며 물가 점검. “폭설 피해 복구 최대한 노력” 약속
경기지기
|
2025.01.26
|
조회 10993
|
경기지기 | 2025.01.26 | 10993 |
893 |
김동연 경기도지사, 설 연휴 대설·한파 대비 특별지시. 도 27일 오전 6시부터 재대본 비상1단계 가동
경기지기
|
2025.01.24
|
조회 12216
|
경기지기 | 2025.01.24 | 12216 |
892 |
김동연 지사 “설 연휴 재난대비, 비상진료체계 구축, 안전사고 예방에 최선 다해달라”
경기지기
|
2025.01.24
|
조회 12074
|
경기지기 | 2025.01.24 | 12074 |
891 |
김동연 지사, IBM·시스코 등 글로벌 IT기업 대표만나 경기도 스타트업 육성, AI 인재양성, 데이터센터 설립 등 협력 제안
경기지기
|
2025.01.24
|
조회 12424
|
경기지기 | 2025.01.24 | 12424 |
890 |
김동연 지사, 다보스포럼서 세계 미디어 리더들에게 한국 정치경제 상황 브리핑
경기지기
|
2025.01.22
|
조회 12925
|
경기지기 | 2025.01.22 | 12925 |
889 |
김동연 지사, 을사년 연하장 발달장애인 작가 작품으로 제작
경기지기
|
2025.01.22
|
조회 12369
|
경기지기 | 2025.01.22 | 123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