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소식
도지사 보도자료

도지사 보도자료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제위기 속 광역지자체 힘 합쳐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낼 것”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2-10-28 17:10
조회
9774
담당부서 : 경기도 기획담당관 정책조정팀장 김계숙(031-8008-2810), 주무관 김동성(031-8008-5272)
○ 28일 전라남도와 상생협력 위해 6개 과제에 대해 협력하기로 합의
- 실질적 지방시대를 위한 자치권 확대 등에 공동대응하고, 도심항공교통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해양 수상레저 스포츠 산업 활성화 노력, 농업·농촌 발전과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강화 등 내용 담긴 합의문 체결








경기도와 전라남도가 도심항공교통(UAM)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지방분권 공동 대응, 우수 농특산물 상생장터 공동 개설 등 양 지역 상생발전을 위한 6개 과제에 합의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8일 전남도청에서 김영록 전남도지사를 만나 이런 내용을 담은 ‘전남·경기 상생발전 합의문’을 체결했다. 양 지사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과 지방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살기 좋은 지방시대와 새로운 대한민국 실현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여러 가지로 나라 경제가 힘든 상황이고, 대한민국 경제와 사회가 앞으로 상당 기간 IMF나 금융위기 때보다 더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이럴 때일수록 중앙정부 역할도 중요하지만, 광역자치단체가 힘을 합쳐서 할 수 있는 일을 하면 좋겠다는 맥락에서 협약을 맺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균형 발전은 파이 자체를 키우는 식으로 해야 하고 협약식을 계기로 작은 것 하나부터 실천에 옮기면서 양 지역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김동연 지사께서 경제 전문가로서 혜안을 가지고 지방과 중앙이 상생하고 공동번영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해 이정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경기도와 전라남도가 수도권과 지방의 공생·공영의 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협업하겠다”고 말했다.

6개 합의사항은 ▲자치권 확대 등 강력한 지방분권을 위한 공동 대응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협력 및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정부지원 노력 ▲도심항공교통(UAM)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해양 수상레저 스포츠 산업 등 육성 상호 협력 ▲전남 친환경농산물 경기도 학교급식 공급 확대, 우수 농특산물 상생장터 공동 개설·운영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교류협력 강화 및 국제행사 성공개최 지원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 상호 협력 및 청소년 교류 활성화 등이다.

합의에 따라 경기도는 전남도와 미래 성장동력이 될 도심항공교통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해양 수상레저 스포츠 산업 등을 육성하고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의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은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하는 비행형 교통수단으로, 교통체증 극복과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경기도는 2026년까지 경기도형 도심항공교통 도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플랫폼 구축과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양 도는 이와 관련한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기본계획 수립과 실증사업 공동 협력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해상풍력단지와 그린수소(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만드는 수소) 생산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시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관련 제도개선도 공동 노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양 도에서 추진 중인 관광 브랜딩 사업에 대해 상호 교차 협력을 통해 관광객 유입 등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 노력하고, 202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와 2023년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성공적 개최와 정원문화·산업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지역 농특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경기·전남 상생장터’를 공동 운영하고, 인적 교류 확대를 위해 청소년 교류 활성화 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합의문 체결은 민선 8기 김동연 지사가 취임한 이후 충청남도에 이어 광역자치단체와 맺는 두 번째 상생협약이다. 도는 대한민국의 ‘기회수도’가 되어 ‘더 많은 기회, 더 고른 기회, 더 나은 기회’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 광역지자체 등과 파트너십을 확장할 예정이다.
목록보기
전체 95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40
경기도, 반도체특화단지·지역화폐 등 국비 17조 8,110억 원 확보. 역대 최대 규모
경기지기 | 2022.12.27 | 조회 9672
경기지기 2022.12.27 9672
239
경기도, 기회수도 실현을 위한 역점분야 17개 과장급 직위 내부공모
경기지기 | 2022.12.27 | 조회 9602
경기지기 2022.12.27 9602
238
경기도, 미래먹거리 발굴 해법 찾는 ‘경바시’ 시즌1 마무리, 직원들 “정책 제언에 깊이 공감, 시즌2도 적극 참여하겠다”
경기지기 | 2022.12.27 | 조회 9078
경기지기 2022.12.27 9078
237
(경바시7) “이제 인공지능 역량이 제조업 성과 판가름. 경기도가 디지털 전환 기반 구축 선도해야”
경기지기 | 2022.12.23 | 조회 9676
경기지기 2022.12.23 9676
236
김동연 지사, 31개 시·군에 대설·한파 대비 안전관리 대응 지시
경기지기 | 2022.12.23 | 조회 8890
경기지기 2022.12.23 8890
235
기업인 100명 만난 김동연 경기도지사 “어려운 시기 반드시 살아남아달라. 있는 힘 다해 돕겠다”
경기지기 | 2022.12.23 | 조회 8869
경기지기 2022.12.23 8869
234
(경바시6) “에너지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자 미래먹거리. 경기도 재생에너지 사업추진단 필요”
경기지기 | 2022.12.23 | 조회 9384
경기지기 2022.12.23 9384
233
김동연 지사, 신임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에 김세용 전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 임명
경기지기 | 2022.12.23 | 조회 10726
경기지기 2022.12.23 10726
232
(경바시5) 경기도 미래차 산업 발전 위해서는 인력양성과 기업·기관간 협업이 필수적
경기지기 | 2022.12.23 | 조회 9183
경기지기 2022.12.23 9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