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소식
도지사 보도자료

도지사 보도자료

경기도, 이태원 참사 목격자·일반도민에 심리상담 지원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2-11-03 08:51
조회
9193
○ 목격자, 일반 도민 등 대상으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1577-0199) 운영 중
- 10월 31일~11월 1일 141명에게 상담 제공. 고위험군 18명 지속 관리
○ 청년 정신건강 치료비 지원사업(마인드 케어)과 연계해 지원할 방침


경기도는 이태원 참사로 인해 정신적·심리적 고통을 받고 있는 목격자나 도민을 대상으로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현재 유가족과 부상자 및 가족의 경우 서울지역 거주자는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서울 외 지역 거주자는 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 상담 지원을 하고 있다.

도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사고 목격자와 일반 도민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1577-0199)를 운영한다. 정신건강 상담전화는 전국 공통번호로 전화를 걸면, 거주지와 연계해 광역·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정신건강전문요원 등 전문가가 365일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를 통해 상담을 받은 도민은 141명으로, 이 가운데 목격자가 69명이었고 대응 인력도 4명 포함됐다. 141명 중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신체증상 등에서 고위험군으로 선별된 이들은 18명이었다. 이들에게는 정신의료기관 이용과 치료비 지원 등을 안내했으며 현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지속상담·관리 중이다.

도는 이번 참사에서 20~30대가 많이 희생된 만큼 심리상담이 필요한 청년층이 많을 것으로 보고, 앞으로 경기도에서 추진 중인 청년 정신건강 치료비 지원사업(마인드 케어)과 연계해 지원할 방침이다.

마인드 케어는 최근 5년 이내 정신과 질환을 처음 진단받은 만 19~34세 경기도 청년에게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여부나 소득 기준을 따지지 않고 1인당 최대 연 36만 원의 외래 진료비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엄원자 도 정신건강과장은 “이번 참사로 희생된 분들의 주변인이나 뉴스를 통해 소식을 접한 많은 도민들이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실 것”이라며 “주저하지 말고 1577-0199로 전화해 주시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도는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1388 심리지원 특별상담실’도 운영하고 있다. 만 9세에서 24세 청소년은 특별상담실을 통해 전문 상담과 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상담 신청은 청소년전화 1388을 통해 전화,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등으로 24시간 가능하며, 가까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방문 시 대면상담도 가능하다. 또한 경기도평생학습포털 ‘지식(GSEEK)’내 화상상담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목록보기
전체 937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7
김동연 경기도지사, 결핵퇴치기금 마련 위한 크리스마스 씰 성금 전달
경기지기 | 2022.12.15 | 조회 8786
경기지기 2022.12.15 8786
216
경기도의 미래를 담은 조직개편안 통과
경기지기 | 2022.12.12 | 조회 10057
경기지기 2022.12.12 10057
215
여야 국회의원 만난 김동연 경기도지사 “국민위해 현신(賢臣) 역할 다해야”
경기지기 | 2022.12.12 | 조회 9669
경기지기 2022.12.12 9669
214
도민 입장에서 안전분야 정책 자문. 경기도 도민안전혁신단 출범
경기지기 | 2022.12.12 | 조회 9124
경기지기 2022.12.12 9124
213
경기도 민관협치위원·시민단체 대표 만난 김동연 지사 “아래로부터의 반란, 깨어있는 시민의 목소리와 함께 하겠다”
경기지기 | 2022.12.12 | 조회 8808
경기지기 2022.12.12 8808
212
여야정협의체 위원 만난 김동연 경기도지사 “안전·민생·기회에 힘 모아달라”
경기지기 | 2022.12.08 | 조회 9816
경기지기 2022.12.08 9816
211
김동연 경기도지사 "일석삼조의 발전소 유치 사업. 경기 동북부 지역에 기회제공. 불균형 해소 기대”
경기지기 | 2022.12.08 | 조회 9364
경기지기 2022.12.08 9364
210
‘제1회 경기도 브랜드 포럼’ 17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
경기지기 | 2022.12.08 | 조회 8870
경기지기 2022.12.08 8870
209
김동연 경기도지사 “공공기관이 책임 다하지 않으면 도민 피해. 성찰과 쇄신 촉구한다”
경기지기 | 2022.12.08 | 조회 8991
경기지기 2022.12.08 8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