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보도자료
‘경기도형 모펀드’ 성공 첫발‥디지털전환·소부장 분야 680억 펀드 조성
작성자
경기지기
작성일
2022-09-06 09:43
조회
6695
담당부서 : 경기도 지역금융과 기본금융팀장 김동주(031-8030-4711), 주무관 모명환(031-8030-4713)
○ 경기도, 「경기도형 모펀드」 출범 후 첫 출자사업, 680억 규모로 성공적 조성
- ‘디지털전환’ 펀드 370억 원 조성, ‘소부장’ 펀드 310억 원 조성 완료
- 당초 결성 목표 500억 원의 136% 달성
- 올해 9월부터 관련 분야 투자기업 발굴 및 투자, 육성 추진
○ 민선 8기 공약으로 2026년까지 1조 원 규모 ‘경기도 G-펀드 조성’ 추진
경기도는 올해 「경기도형 모펀드」 첫 출자사업으로 총 680억 규모의 ‘디지털전환 펀드’와 ‘소부장 펀드’ 결성을 완료하고, 도내 관련 분야 기업에 대한 투자를 본격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출범한 ‘경기도형 모펀드’는 회계연도에 맞춰 1년 단위로 예산을 편성하는 정책펀드와 달리, 기존 정책펀드의 정산 회수금을 투자기금으로 적립해 안정적으로 출자와 운용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분야의 자(子)펀드를 조성하는 데 모펀드의 기금을 활용, 급변하는 산업환경과 투자수요에 능동·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4월 출범 후 첫 출자사업으로 ‘디지털전환’과 ‘소부장’ 분야를 결정한 이후, 그간 500억 원 이상을 목표로 펀드 조성을 추진해왔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디지털전환 펀드’는 모펀드에서 20억 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 등 350억 원을 유치해 처음 결성목표인 200억 원을 훌쩍 넘은 370억 원 규모로 결성됐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솔루션 등 디지털 전환 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9월부터 투자 대상 발굴에 나서며, 현대투자파트너스(주)에서 운용을 맡는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소부장’ 펀드는 모펀드에서 30억 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 등 280억 원을 유치해 총 310억 원 규모로 결성됐다.
플래티넘기술투자(주)에서 운용을 맡아 9월부터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 대상 발굴에 들어간다.
특히 도는 지난 7월 조성한 1,030억 원 규모 탄소중립펀드를 포함해 이번 디지털전환 펀드, 소부장 펀드까지 올 한해 총 3개 펀드 1,710억 원의 결성을 완료하게 됐다.
이는 도가 지난 1999년 첫 펀드를 조성한 이후 단일연도 최대 조성액으로, 종전 기록인 2020년 1,355억 원보다 355억 원 더 큰 규모다.
경기도 지역금융과장은 “경기도형 모펀드는 기존의 투자재원을 다시 기업에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의 시작을 알리는 사업”이라며 “앞으로 디지털전환, 소부장 분야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투자 기회를 확대하고, 관련 산업 활성화와 기업 성장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오는 2026년까지 스타트업, 탄소중립, 미래전략산업 분야 투자를 위한 1조 원 규모의 ‘경기도 G-펀드’를 조성, 도내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 경기도, 「경기도형 모펀드」 출범 후 첫 출자사업, 680억 규모로 성공적 조성
- ‘디지털전환’ 펀드 370억 원 조성, ‘소부장’ 펀드 310억 원 조성 완료
- 당초 결성 목표 500억 원의 136% 달성
- 올해 9월부터 관련 분야 투자기업 발굴 및 투자, 육성 추진
○ 민선 8기 공약으로 2026년까지 1조 원 규모 ‘경기도 G-펀드 조성’ 추진
경기도는 올해 「경기도형 모펀드」 첫 출자사업으로 총 680억 규모의 ‘디지털전환 펀드’와 ‘소부장 펀드’ 결성을 완료하고, 도내 관련 분야 기업에 대한 투자를 본격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출범한 ‘경기도형 모펀드’는 회계연도에 맞춰 1년 단위로 예산을 편성하는 정책펀드와 달리, 기존 정책펀드의 정산 회수금을 투자기금으로 적립해 안정적으로 출자와 운용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분야의 자(子)펀드를 조성하는 데 모펀드의 기금을 활용, 급변하는 산업환경과 투자수요에 능동·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4월 출범 후 첫 출자사업으로 ‘디지털전환’과 ‘소부장’ 분야를 결정한 이후, 그간 500억 원 이상을 목표로 펀드 조성을 추진해왔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디지털전환 펀드’는 모펀드에서 20억 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 등 350억 원을 유치해 처음 결성목표인 200억 원을 훌쩍 넘은 370억 원 규모로 결성됐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솔루션 등 디지털 전환 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9월부터 투자 대상 발굴에 나서며, 현대투자파트너스(주)에서 운용을 맡는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소부장’ 펀드는 모펀드에서 30억 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 등 280억 원을 유치해 총 310억 원 규모로 결성됐다.
플래티넘기술투자(주)에서 운용을 맡아 9월부터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 대상 발굴에 들어간다.
특히 도는 지난 7월 조성한 1,030억 원 규모 탄소중립펀드를 포함해 이번 디지털전환 펀드, 소부장 펀드까지 올 한해 총 3개 펀드 1,710억 원의 결성을 완료하게 됐다.
이는 도가 지난 1999년 첫 펀드를 조성한 이후 단일연도 최대 조성액으로, 종전 기록인 2020년 1,355억 원보다 355억 원 더 큰 규모다.
경기도 지역금융과장은 “경기도형 모펀드는 기존의 투자재원을 다시 기업에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의 시작을 알리는 사업”이라며 “앞으로 디지털전환, 소부장 분야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투자 기회를 확대하고, 관련 산업 활성화와 기업 성장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오는 2026년까지 스타트업, 탄소중립, 미래전략산업 분야 투자를 위한 1조 원 규모의 ‘경기도 G-펀드’를 조성, 도내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전체 890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공지사항 |
(기자회견문) ‘대한민국 비상 경영 3대 조치’를 제안합니다
경기지기
|
2025.01.13
|
조회 5667
|
경기지기 | 2025.01.13 | 5667 |
151 |
“내가 말하는, 내가 그리는 나의 경기도” 경기도, 도민참여 글‧그림 공모전 ‘너와 나의 경기’ 25일부터 개최
경기지기
|
2022.10.24
|
조회 5917
|
경기지기 | 2022.10.24 | 5917 |
150 |
김동연 경기도지사 “내년부터 독립야구단 선수에게 출전수당 지급”…재도전할 기회 제공
경기지기
|
2022.10.21
|
조회 6114
|
경기지기 | 2022.10.21 | 6114 |
149 |
김동연 경기도지사, 구청사에서 열린 농산물 직거래장터 찾아 “인근 지역상권 활성화 노력 필요”
경기지기
|
2022.10.21
|
조회 5807
|
경기지기 | 2022.10.21 | 5807 |
148 |
김동연 경기도지사, “더 많은 기회, 더 고른 기회 주어지는 경기도 만들고 싶다”
경기지기
|
2022.10.20
|
조회 6228
|
경기지기 | 2022.10.20 | 6228 |
147 |
김동연 경기도지사 “장애인에게 공정하고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도록 노력하겠다”
경기지기
|
2022.10.20
|
조회 5783
|
경기지기 | 2022.10.20 | 5783 |
146 |
김동연 지사, 선감학원 아동인권침해 사건 공식 사과 “피해자 상처 치유와 명예회복 위해 생활 지원 등 대책 시행하겠다”
경기지기
|
2022.10.20
|
조회 6223
|
경기지기 | 2022.10.20 | 6223 |
145 |
“청년예술가에게는 자립 기반 기회를, 도민에게는 문화 누림 기회를” 도, 18~31일 수원 광교서 ‘스노우볼 미디어아트쇼’ 상영
경기지기
|
2022.10.17
|
조회 6131
|
경기지기 | 2022.10.17 | 6131 |
144 |
김동연 경기도지사, 나이젤 토핑 COP26 기후대응대사 만나 기후위기 협력 방안 논의
경기지기
|
2022.10.12
|
조회 6190
|
경기지기 | 2022.10.12 | 6190 |
143 |
‘경기도 레드팀’ 청사 내 1회용품 제한, 구청사 활용방안 제시로 도정 뒤집기 나서
경기지기
|
2022.10.12
|
조회 7185
|
경기지기 | 2022.10.12 | 7185 |